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86

✝️천주교 수능을 앞둔 자녀를 위한 기도문 (수험생을 위한 기도문) ✝ 수능을 앞둔 자녀를 위한 기도문(수험생을 위한 기도문) 자비로우신 하느님 아버지,이 시간 수능을 앞두고 마음을 다잡고 있는 저희 자녀를 위해 간절히 기도드립니다. 그동안 흘린 땀과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자녀에게 지혜와 집중력, 평온한 마음을 허락해 주시고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소서. 불안과 두려움이 마음을 덮을 때"두려워하지 마라, 내가 너와 함께 있다" 하신주님의 말씀이 자녀의 마음을 가득 채우게 하시고,어떤 결과 앞에서도 감사할 수 있는 믿음을 주소서. 시험 당일, 건강을 지켜 주시고준비한 것을 차분히 잘 풀 수 있는 은총을 내려주소서.주님의 뜻 안에서 자신의 길을 찾고,그 안에서 기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옵소서. 성령님, 자녀의 마음.. 2025. 7. 13.
✝️천주교 가정을 위한 기도문2 ○사랑이요 생명이신 하느님 아버지,세상의 모든 가정은 당신의 성삼에서 비롯되었나이다. ●여인에게서 태어나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거룩한 사랑의 샘이신 성령의 도움으로모든 가정이생명과 사랑의 보금자리가 되게 하소서. ○부부들의 생각과 행위를 당신의 은총으로 이끄시어모든 가정의 선익에 이바지하게 하소서. ●가녀들은 가정에서 자신등의 존엄성을 깨닫고진리와 사랑으로 성숙하게 하소서. ○저희 가정이 겪는 모든 어려움을혼인성사의 은총으로 극복하게 하소서. ●나자렛 성가정의 전구를 총하여 가정이 성화되고가정을 통하여 세상이 성화되기 하소서.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우리 주 그리스도를 총하여 비나이다. ◉아멘 2025. 7. 12.
불교의 종류는? 조계종, 천태종, 원불교란? 불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종파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여러 불교 종파가 존재하지만, 일반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대표적인 종파는 조계종, 천태종, 원불교입니다. 이 글에서는 불교의 기본적인 종파 구분과 함께 각 종파의 특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 불교의 기본적인 분류불교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소승불교(남방불교)테라와다 불교라고도 하며, 주로 스리랑카,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믿습니다.개인의 해탈을 중시하고, 원시불교의 가르침을 비교적 보존하고 있습니다.대승불교(북방불교)중국, 한국, 일본, 티베트 등에서 발전했습니다.개인의 해탈뿐 아니라 중생을 함께 구제하는 보살행.. 2025. 7. 9.
✝️천주교 세상을 떠난 부모님을 위한 기도문 삶과 죽음은 우리 모두가 마주하는 여정입니다. 천주교 신앙에서는 이 땅에서의 삶을 마친 이들이 하느님의 자비 안에서 영원한 안식을 누리도록 기도합니다. 특히 사랑하는 부모님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분들을 위한 기도는 자녀된 우리가 드릴 수 있는 가장 큰 사랑이자 효도의 표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상을 떠난 부모님을 위한 천주교 기도문과 그 의미에 대해 나누고자 합니다. 세상을 떠난 부모님을 위한 기도문🙏🏻 ○주님,주님께서는 부모를 효도로 공경하며은혜를 갚으라 하셨나이다. ●세상을 떠난 부모(아버지 또는 어머니)를 생각하며 기도하오니세상에서 주님을 섬기고 주님의 가르침을 따랐던그들(그)에게 자비를 베푸시어영원한 행복을 누리게 하소서. ○또한 저희는 부모(아버지 또는 어머니)를 생각하여언제나 서.. 2025. 7. 8.
💐 천주교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7월 22일 오늘은 천주교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 중 한 분인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성 막달라 마리아)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죄에서 회개하여 예수님을 따르고, 부활의 첫 증인이 되었던 그녀의 삶은 지금도 많은 신앙인에게 깊은 감동과 교훈을 줍니다. 🔍 마리아 막달레나는 누구인가요?마리아 막달레나는 성경에 등장하는 여성 제자 중 한 명으로, ‘막달라’라는 갈릴래아의 한 도시 출신이었기 때문에 ‘막달라 마리아’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성경(루카 8,2)에 따르면 그녀는 예수님께 일곱 마귀를 쫓아내심을 받은 이후, 그 은혜에 보답하며 예수님을 따르고 자신의 재산으로 예수님의 사도들과 사명을 도왔습니다.🙏 죄에서 회개한 여인마리아 막달레나는 종종 회개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초대 교회 시절부터 그녀는 죄인이었으나 .. 2025. 7. 7.